본문 바로가기

건강장수

팬데믹 앤데믹 시기 식생활 변화의 이유 4가지와 삼시세끼

팬데믹 전과 후는 완전히 다른 세상이 된 것 같습니다. 모두 집에 있는 것이 미덕이었다가 팬데믹 종식으로 전의 모습을 서서히 회복하는 변화를 겪고 있다고 합니다. 식생활 분야에서 완전히 새롭게 나타나는 변화도 있고 우리나라 사람들의 식습관에 대해 살펴보기 좋은 시기 같아요.

 

도로위 차들이 달려가는 모습 팬데믹 앤데믹으로 차가 많지 않습니다.

 

오픈서베이 데이터 분석

오픈서베이 2019년 3월~2022년 2월까지 1만 5천 명의 패널로부터 수집한 26만여 개의 식단 데이터와 78만여 개의 메뉴 기록 데이터를 분석했다고 해요.

 

3년간의 가장 큰 변화 4가지 소개

  1. 식사 횟수의 감소 트렌드
  2. 상 차릴 때 간소화 트렌드
  3. 한식 취식 감소
  4. 외식 감소, 외식 시 주로 먹던 음식의 취식 방법의 변화

 

요즘? 가장들이 은퇴 후 집에서 삼시 세끼를 챙겨 먹는 것은 굉장한 용기가 필요하다고 하는데요 그 말이 딱 맞는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사람들의 1일 식사 횟수는 19년 2.84~21년 2.69회로 감소했어요.

 

그중에서도 아침을 먹는 비율이 크게 줄었습니다. 저녁과 점심은 지난 3년간 차이가 없는 반면 아침은 19~20년 대비 21년에 좀 더 큰 폭으로 내려왔다고 해요.

 

반면 간식이나 야식은 코로나 이후 20년에 잠시 증가했다가 21년에 다시 감소하고, 야식은 19~20년은 큰 변화가 없다가 21년 들어 크게 감소하는 패턴이 나타났어요.

 

정리해 보면 식사 횟수 감소 트렌드 안에서도 아침과 야식 취식률이 21년 들어서 큰 폭으로 감소했다는 것입니다. 특히 아침 식사의 감소는 꾸준히 관찰되던 현상이기도 하니 아침 장사를 염두에 두셨다면 고민되실 기록이 될 것 같아요.

 

줄어든 메뉴

메인 메뉴가 커지고 개수가 줄었다고 합니다. 실제로 18년 이전까지만 해도 한 번의 식사에서 포함되는 메뉴의 수는 3.08개에서 19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면서 21년 들어는 2.89개까지 줄었어요.

 

취식이 증가한 메뉴는 샐러드, 샌드위치, 떡볶이, 파스타, 어묵탕, 햄버거입니다. 여러 가지 반찬이 필요 없는 메뉴들에 취식이 증가했는데요 반대로 덜먹은 음식으로는 배추김치, 멸치볶음, 깍두기, 된장찌개, 계란프라이 젓갈, 기타 김치류입니다. 김치가 가장 눈에 띄는데요 취식이 증가한 메뉴와 곁들여 먹을 수 없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전체 식단에서 한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까지 절반 수준으로 가장 높지만 양식 카테고리 취식도 크게 증가하며 전통적인 한식 식단의 입맛에서 빠르게 서구화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고 해요.

 

코로나 전 외식으로 먹었지만 집에서 더 많이 먹게 된 음식 19년도에 사람들은 10번 식사할 때 3번(29.2%) 정도 외식을 했다고 합니다. 코로나 이후 20년 들어 급감했으며 21년까지 22.2~21.9%로 내려앉았어요.

 

주로 외식으로 먹던 음식을 집에서 먹게 된 메뉴는 제육볶음, 보쌈, 수육, 돼지고기구이, 삼계탕 같은 한식 메뉴입니다. 재미있는 점은 20대에서 외식형 HMR(배달음식/식당 포장) 취식을 늘렸다고 해요.

 

30대 이후는 유통형 HMR(편의점 도시락, 반찬가게 신선 포장식품) 취식이 늘었습니다. 20대는 떡볶이, 햄버거, 스낵형 메뉴가 많고 30대는 밀키트, 편의점 도시락, 반찬가게, 과자 과일 등이었어요.

 

집에서 먹기 힘든 음식을 외식이나 간편으로 선택

20대가 선호하는 외식형은 확실한 성장세에 비해 맛보다는 가성비와 간편함으로 먹었던 유통형 음식의 성장은 둔화되었습니다. 21년 유통형을 선택하는 사람들은 간편하고 손쉽게 먹을 수 있다는 응답(76.2%)은 높았으나 맛있게 먹기 위해서(35.0%) 응답은 낮았다고 해요.

​반면 외식형은 간편하고 손쉽게(64.9%)에 맛있게 먹기 위해서(44.9%)였습니다. 특징은 집에서 해먹기 힘든 음식을 주로 배달이나 포장으로 집에서 여럿이 먹었어요.

 

사람들은 유통형 음식에 대한 기대감이 그리 높지 않은 것 같습니다. 평소 집에서 해먹기 힘든 찜 요리나 수육, 김치로 만든 음식 등의 메뉴가 앞으로는 각광 받기 좋을 것 같기도 하고 말이에요.

 

본인이 만들어 먹지 못하는 음식을 신선하고 맛있게 해주는 식당이나 배달음식, 아귀찜 같은 경우도 아구와 콩나물의 무게를 표시하거나 돼지고기 수육도 잡내의 수치를 100~80%까지 수치화해서 판매하는 가게도 나오지 않을까요?

 

이틀전 마켓컬리에서 밀키트로 14,000원 정도의 감자탕을 시켜봤었습니다. 잡내가 살짝 있었지만 한 그릇 다 먹었는데요 아주 가끔은 시켜 먹을 만하지만 그냥 가게 가서 1~2천 원 더 주고 먹는 게 낫겠다가 결론이었다고 해요.

 

이유는 가게에서 맡을 수 있는 잡내와 가정에서 맡는 잡내가 똑같이 100이라도 뭔가 110~120 같이 높게 다가오는 느낌이었습니다. 이런 느낌은 결핍에서 오는 것 같기도 했습니다.

 

식당에서 사용하는 뚝배기나 음식의 온도, 주방의 소음까지 감자탕을 맛있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조연 역할의 부재 때문이었는지 모르겠어요.